basic.co.kr 예산제도 > basic4 | basic.co.kr report

예산제도 > basic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asic4

예산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20:40

본문




Download : 예산제도.hwp





2) 의회는 행政府가 제출한 예산안에 대하여 폐제삭감권은 지니나 증액을 하거나 신 비 목을 설정할 수는 없다.
3) 1628년 권리청원 : `의회의 동의를 얻지 않은 과세는 위법이다`
4) 1689년 권리장전(The Bill of Rights) : 의회의 동의없이 국왕이 과세하는 것은 불법

(2) 세출에 대한 통제권

1) 재정에 있어서의 의회주의의 원칙을 수입뿐만 아니라 지출면에까지 확대
2) 시빌 리스트(Civil List) 제도
국왕의 수입지출과 국가의 수입지출의 구분,
3) 통합기금법(Consolidated Fund Act) : 국고통일제도
국가의 모든 수입이 한곳으로 납입되고 또한 모든 지출이 여기서 지급되도록 규정

(3) 행政府제출예산제도

1) 政府(국왕, 행政府)만이 예산안제안권을 지닌다.
영국에 이어 내각책임제를 채택한 많은 국가들은 자국…(생략(省略))

,법학행정,레포트
다.설명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예산제도
예산제도_hwp_01.gif 예산제도_hwp_02.gif 예산제도_hwp_03.gif 예산제도_hwp_04.gif 예산제도_hwp_05.gif





예산제도 , 예산제도법학행정레포트 ,





예산제도

Download : 예산제도.hwp( 60 )


1. 영국예산제도의 발달

(1) 의회의 과세동의권의 확립

1) 근대예산제도는 영국에서 의회제도와 병행해서 발달
2) 1215년 마그나 카르타 : 납세자의 승낙 없이는 조세징수할 수 없다.
국가주권의 삼권분립원칙이 영국에서 제일 먼저 정착되었듯이 예산안의 편성권은 행政府에, 예산의 의결권은 입법부에, 예산의 집행권은 행政府에, 그리고 회계검사권은 입법부에 속하게 한 재정권의 분립 원칙도 영국이 제일 먼저 실현되었다.

(4) 결산제도와 회계검사제도

1) 회계검사제도 : 政府가 과연 의회가 의도한 바 대로 예산을 집행했는가를 확인
2) 영국 : 의회에 회계검사원

이로써 예산안의 편성, 예산의 의결, 예산의 집행 및 회계검사의 네 과정으로 성립되는 민주주의적인 근대적 예산제도가 200여 년간의 기간동안에 서서히 발달되어 확립되게 되었다.
전체 7,62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asic.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