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4 10:36
본문
Download : [A+]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hwp
사회철학은 공동목적과 상호관계에 있어서의 인간적 행동들을 고려하므로 사회와 개인의 행동들은 사회철학의 주제다. 군인은 군대행위의 일부를 담당할 뿐 아니라, 군대행위를 넘어선 행동도 하는 군대의 일부다.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
Download : [A+]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hwp( 15 )
아퀴나스의착각
,법학행정,레포트
2.사회理論
개인과 사회의 작용들은 윤리철학의 주제에 속한다. 따라서 사회는 유기체도 아니요, 실체도 아니다. 군대는 포위하고 공격해서 이기지만 개별 군인이 이 일을 하는 건 아니다. 사회과학은 집단행동의 목적들과 집단행동이 부분들의 복지를 구성하는 방식을 이해할 때, 집결과 협력의 유형들을 묘사하고 설명(說明)하고 정당화하고 비판할 수 있따 집단행동을 위한 집결은 공동목적에 기인한다. 약간의 개인적 행동들은 집단의 행동이 아니며, 약간의 집단적 행동들은 개인의 행동이 아니다. 어떤 협동 행동의 공개적 제안이 구성원들을 설득해서 그들이 제안된 행동에 참여하기로…(skip)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아퀴나스의착각 , [A+]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법학행정레포트 ,
[A+] 아퀴나스의 착각 -안소니 케니의 견해
다. 사회와 유기체는 일정 한도 내에서의 유비에 불과하다. 윤리철학은 개인/가계(경제)/시민(Citizen)집단의 행동들로 구분된다 사회理論은 만듬이 아니라 함, 즉 자기결정 작용을 다룬다. 왜 사회理論은 집단을 인간적 행동의 관점에서 이해하는가? 윤리철학은 집단들을 행동하는 인격들의 질서로서 연구한다. 학문이란 어떤 사태가 왜 그리 존재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포함한 검증되어 잘 근거지어진 설명(說明)적 지식이다. 집단은 누적적으로 구성된 단일체가 아니라 질서의 단일성이다. 집단은 자유 행동들의 체계/유형/상관관계/협동구조라는 질서로 연구된다 물론 가능한 대안들을 산출하는 인간적 행동의 선조건들도 연구해야 한다. 사회적 공동체란 공동목적을 지닌 인간들의 행위질서다.
집단을 전체로 통합하는 질서란 무엇인가? 1)부분과 전체간의 상호관계와 2)집단과 참여자들의 공동 목적 사이의 관계라는 두 요소가 질서를 구성한다. 사회는 자연물이나 유기체나 실체가 아니다. 가령 정치학은 정치 공동체의 부분들(개인/가족/이웃)과 원리들(기원들/작용인들/형상인들/전체구조)을 다룬다. 윤리철학이란 자기를 결정하는 인간 행동에 관한 철학이다.